Loading...
1일간 안보이기 닫기
모바일페이지 바로가기 > 로그인  |  ID / PW찾기  |  회원가입  |  소셜로그인 
스토리야 로고
작품명 작가명
이미지로보기 한줄로보기
 1  2  3  4  5  6  7  8  9  10  >  >>
 1  2  3  4  5  6  7  8  9  10  >  >>
 
자유연재 > 일반/역사
노미
작가 : 정진교
작품등록일 : 2020.9.23

1919년에 태어나신 나의 할머니 오노미와 남편 정진화 그리고 그 동생들 윤화, 남화, 석이, 민화, 태화, 정화 이야기.

그때 노미는 열아홉 아리따운 소녀였고, 남편 정화와 여섯 도련님들은 스물두 살부터 열다섯 살 사이의 근동에 소문난 꽃같은 소년들이었다. 그렇게 노미의 꽃길같은 시집살이는 정말 꽃길만 같을 줄 알았다. 그러나 병으로 일찍 돌아가신 시어머니 대신 여섯도련님들의 어린 어머니 노릇을 하며 한명 한명 제짝을 찾아주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리고 시대는 일제강점기. 아프고 어두운 시절이었다.

목숨보다 소중한 것들과 소중한 사람들을 어이없이 빼앗기고, 또 잃어야 했던 시절이었다.
노미의 가족들은 서로를 지켜내기 위해 매일 매 순간 이를 악물고 버텨야 했고, 어떻게든 살아내야 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시절 누구보다 찬란했고, 아름다웠고, 사랑스러웠으며, 아팠지만 따듯했고, 슬펐지만 행복했다.

공출, 가뭄, 강제징용, 그리고 빼앗긴 소녀들... 아파서 부끄러워서 또 몰라서
아무도 하려하지 않았지만 누군가 해야하는 이야기이기에 감히 시작해보려 한다.

저는 작가 정진교입니다. 지금부터 제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제73화 남화의 옥가락지
작성일 : 20-09-29 11:32     조회 : 270     추천 : 0     분량 : 5116
뷰어설정 열기
뷰어 기본값으로 현재 설정 저장 (로그인시에만 가능)
글자체
글자크기
배경색
글자색
맑은고딕 나눔고딕 돋움 굴림 궁서 바탕
13 15 17 19 21

 제73화 남화의 옥가락지

 

 남화는 서울 남산동에 작은 셋방을 하나 얻었다. 모자란 부분을 윤화가 보탰다. 남화는 후일 꼭 갚겠다고 했고, 윤화는 돈이 아니라 뜻있는 일을 해서 갚으라고 했다. 윤화는 돈을 벌어 동생들에게 주면 줬지 빌려주는 법이 없었다. 가족이랑 이자놀이 하지 않는다는 것이 윤화의 철칙이었다. 가까운 친척들이 손을 벌릴 때도 있었지만 윤화는 매정할 정도로 돈을 빌려주는 법이 없었다. 어려운 사정이 있는 친지들이나 지인들을 도와주게 되더라도 두 번 이상은 돈으로 도와주지 않았다. 대신 살길을 알려주거나 일자리를 마련해주는 것으로 도움을 주었고, 스스로 일어서려는 의지가 없는 이들이나 그저 남의 도움으로만 살려는 사람은 두 번 다시 돌아보지 않아 원망을 듣기도 했다.

 

 그 사이 노미와 서현이 다혜는 같이 길쌈도 하고, 반찬도 만들고, 아이들도 돌보며 의좋게 지냈다. 아직 겨울이라 꺾어다 줄 꽃도 없고, 주워다 줄 돌멩이도 마땅치 않았지만, 민화와 태화는 세 형수님을 살뜰하게 보살폈다. 진화도 면사무소 일 끝나고 퇴근할 때마다 노미와 어여쁜 재수씨들을 위해 사탕이랑 과자, 양갱 같은 것들을 꼭 사왔다. 서현이는 특히 양갱을 좋아해서 우리 할머니는 양갱을 볼 때마다 셋째 동서 생각이 난다며 웃으셨다. 셋째 동서는 할머니가 뭔가 우스운 얘기를 하면 배가 아프게 까르르 잘 웃었다고 했다. 힘든 일을 많이 겪은 사람 같지 않게 그렇게 웃음이 많은 소녀였다고 했다. 아픈 시대를 겪어내고 겨우 살아남은 공주마마는 그렇게 새로운 가족을 만나 행복했다. 서현이는 그렇게 노미의 가족이 되었다.

 

 노미는 서현이를 위해 새 혼례복을 지었다. 손에 두르는 한삼에 수를 놓으며 서현이는 울었다. 어머니가 해주셔야 할 일들을 노미와 다혜 그리고 석이 어머니가 해주어야 했지만, 서현이는 한없이 기뻐서 울고, 또 한없이 서러워서 울었다. 서현이는 울면서도 웃었다. 그렇게 웃음이 많은 소녀였다. 눈물 많은 다혜가 오히려 옆에서 펑펑 울었다.

 

 한삼에 수를 다 놓고 혼례복에 족두리까지 완성되었다. 품이 맞나 보려고 서현이에게 입히고 보니 노미는 만감이 교차했다. 발그레한 얼굴로 웃고 있는 서현이를 보니 참말로 공주마마 같았다. 노미는 태화가 주워다 준 돌멩이들이 조르르 자리를 잡고 앉아 있는 화초장 아랫칸에서 고이고이 간직하고 있던 옥가락지 담긴 주머니를 꺼내었다.

 

 “원래 함에 담아가 보내야 하는 긴데, 이래 드려가 우얍니꺼. 내 다른 폐물들은 혼인하는 날 맞춰드릴 테니 일단 받으시소.”

 

 하며 노미는 남화의 이름이 적혀있는 옥가락지를 서현이에게 주었다. 서현이의 커다란 눈이 더 커다래졌다. 다혜는 그것이 무엇인지 알기에 그저 흐뭇하게 보고 웃었다. 서현이는 옥가락지 안에 새겨진 이름을 보았다.

 

 ‘정남화(鄭南和)’

 

 “돌아가신 어무이가 아들들 색시들을 위해 미리 만들어두신 깁니더. 시절이 어수선해가 나비 같은 우리 도련님들이 색시들을 영 못 찾으시면 어쩌나 했는데 이래 꽃 같은 색시들을 보내주셔가 지가 얼매나 다행스럽고, 고마분지....”

 

 노미는 목이 멨다. 서현이는 그 크고 고운 눈에 눈물이 맺혔다. 노미는 서현이의 손을 잡았다. 그리고 옆에서 펑펑 울고 있는 다혜의 손도 잡았다. 어느새 이렇게 어여쁜 여동생들이 생긴 것이 노미는 꿈만 같았다. 이러니저러니 해도 세월은 흐르고, 만나야 할 사람들은 또 이렇게 만나는구나 싶었다. 그렇게 노미는 옥가락지 주인을 하나 더 찾았다. 아니, 그렇게 옥가락지 주인이 나타나 주었다. 사람을 데려가시는 하늘은 이렇게 또 사람을 데려다주시기도 한다. 그래서 우리는 또 그렇게 살아야 하는가 보다.

 

 

 봄이 왔다. 아버지 어머니 제사를 지냈다. 서현이도 함께였다. 그리고 울타리 둘레로 심어 놓은 개나리들이 노란 꽃망울을 터트리기 시작한 어느 아름다운 날, 남화와 서현이의 혼례식이 있었다.

 

 아름다운 혼례식이었다. 고향을 떠난 이들이 많았지만 그래도 끝까지 고향을 지킨 동네 사람들이 혼례식에 와주었다. 그중에는 남화의 옛제자들도 있었고, 지난 콜레라에 남화 덕분에 목숨을 구한 이들도 있었다. 그리고 휴도 남화와 함께 내려왔다. 남화의 전통 혼례식을 꼭 봐야 한다며 따라온 것이다. 석이가 반갑게 맞아주었다. 서양 사람을 처음 본 태화와 민화는 휴가 신기해서 곁을 떠나지 않았다. 어쨌든 휴는 금방 형제들과 친구가 되었다. 휴는 오랜만에 다시 만난 서현이와도 반갑게 인사했다.

 

 서현이가 친정이 없는 바람에 많이 간소화된 혼례식이었지만 신랑 발바닥 때리는 행사는 빠지지 않았다. 단단히 벼르던 석이는 정말로 아주 실한 북어를 구해와 남화 발바닥을 겁나 거시기하게 때려주었다. 동생들과 휴까지 돌아가며 남화 발바닥을 때렸다. 남화가 아프다고 엄살을 떠는데 정작 색시인 서현이는 까르르 웃고, 곁에서 보던 다혜가 옛날 생각이 떠올라 울었다. 서현이도 노래를 불러야 했다. 수를 놓으며 밤마다 다혜에게서 도라지를 배웠는데, 모두 다 서울 도라지는 저렇게 부르는구나 하고 이해했다. 겨우 노래를 다 마친 새색시에게 환호와 박수가 쏟아졌다.

 

 그렇게 혼례식을 치른 가족들은 다같이 서울로 올라갔다. 남화의 대학 친구들과 병원 지인들이 남화를 위해 교회에서 서양식 결혼식을 해주기로 했기 때문이었다. 진화네 집에서는 처음으로 치르는 서양식 결혼식이었다.

 

 결혼식 준비를 하고 결혼식을 치르는 날까지 거의 열흘 동안 식구들 모두 남산동 월세방에서 함께 먹고 자며 지냈다. 셋방은 주인집 옆에 붙은 작은 별채였는데 허리를 숙이고 들어가야 하는 작은 나무문을 열고 들어서면 부엌이 있고, 그 끝에 상을 펴고 밥을 먹을 수 있는 정도의 마루가 있고, 제일 안쪽에 어른 대여섯 명 정도가 겨우 누울 수 있는 작은 방이 있는 일자형 구조였다. 아직 마땅한 가구가 없는 빈방에 여자 셋, 남자 셋이 자고, 아직 총각인 동생들은 마루에서 잤다. 그렇게 모두 열 명이 옴닥거리며 잠시지만 함께 서울살이를 했다. 노미는 산밭에서 다같이 먹고 자며 놀던 때가 떠올랐다. 서현이가 그때 양파를 넣고 볶음밥을 했는데 노미는 그때 처음으로 볶음밥도 먹어보고 양파도 먹어보았다. 그렇게 볶음밥 하는 법을 배운 노미는 구길에 돌아와 김치 볶음밥을 자주 해먹었다.

 

 가족들은 서울에 와서 제일 먼저 다같이 양장점에 가서 모두 양복을 맞추었다. 그리고 며칠 후, 옷이 다 되었다는 연락을 받고 양장점으로 갔다. 그런데 가족들 중 누구보다 설레는 이는 남화도 서현이도 아니고 진화였다. 진화는 노미에게 양장을 입혀줄 생각에 가슴이 뛰었다. 서현이는 서울에 살면서 양장을 입어본 적이 있었지만 노미와 다혜는 양장을 입어보는 것이 처음이었다. 일곱 남자들도 모두 양복을 맞춰 입었는데 양복을 처음 입어보는 석이, 태화, 민화는 몸에 딱 붙는 옷이 영 불편하고 어색했다.

 

 “시상에! 우리 도련님들 어찌 이리 멋집니꺼!”

 

 노미는 양장을 입은 남자들 모습에 감탄이 절로 나왔다. 인물 좋은 거야 두말하면 입 아프지만 이렇게 양복들을 입고 서 있으니 눈을 뗄 수 없이 멋졌다. 부끄러운 진화는 이제 노미의 등을 밀며 맞춘 옷을 입고 나오라고 재촉했다. 제일 먼저 서현이가 새색시답게 연한 베이지색 원피스를 입고 나타났다. 커다란 눈의 서현이가 레이스 달린 원피스 드레스를 입고 있으니 더 인형 같았다. 남화는 얼굴이 귀까지 빨개졌다. 다혜는 흰 블라우스에 감색 치마를 입었는데, 누구보다 한복이 잘 어울리는 사람이 양장도 너무 잘 어울렸다. 석이는 물론이고 남자들 모두 탄성을 질렀다.

 

 “빨리 나온나! 뭐하노?”

 

 하고 애달픈 진화가 노미를 불렀다. 노미는 부끄러워서 얼른 나설 수가 없었다. 도련님들도 모두 양장 입은 형수님을 볼 생각에 침을 꿀꺽 삼켰다. 드디어 노미가 나왔다. 보라색 원피스를 입고 구두까지 신은 노미는 역시나 고왔다. 진화는 흐뭇함을 감출 수 없었다. 언젠가는 꼭 아내에게 양장을 입혀주고 싶었는데 오늘 이렇게 소원을 이룬 것이다. 진화는, 우리 할아버지는 이때 할머니가 참 고왔다고, 한복을 더 많이 입으셨지만 이렇게 양장을 입은 모습도 참 고왔다고 늘 자랑처럼 말씀하시곤 했다. 진화는 자기 아내가 어여뻐서, 하늘이 맺어주신 자기 사람이 고와서 늘 가슴이 쿵쾅거리던 참 사랑스러운 남자였다. 우리 할아버지는 평생을 그렇게 자기 아내를, 자기 사람을 참으로 어여뻐하며 살았다.

 

 진화는 노미에게서 눈을 떼지 못했다. 노미는 그런 남편의 시선이 부끄러워서 자꾸 고개를 숙이며 웃었다. 색시 없는 다른 도련님들은 어쩔 수 없이 배가 아파서 앓는 소리를 내며 데굴데굴 굴렀다.

 

 

 다음날, 병원 부속 예배당에서 남화와 서현이의 결혼식이 있었다. 휴를 포함한 남화의 서울 지인들은 서양 사람들이 많아 진화네 가족들은 모두 얼떨떨했다. 그러나 진화네 형제들과 그 가족들을 본 사람들 또한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하객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지금까지 이만큼 아름다운 사람들을 본 적이 없다며 노미네 가족들에게서 눈을 떼지 못했다.

 

 흰색 웨딩드레스에 면사포를 쓴 서현이는 말로 할 수 없이 아름다운 신부였고, 양복을 차려입은 남화는 눈을 뗄 수 없이 멋진 신랑이었다. 아버지가 없는 서현이를 누가 데리고 들어갈까 고민하다가 석이네가 구길에서 서현이 친정 역할을 한 인연으로 석이가 서현이를 데리고 들어가기로 했다.

 

 “워매, 우리 서방님도 양복을 입응께 인물이 훤하네요잉~.”

 

 하며 다혜는 자기 남편을 바라보며 얼굴을 붉혔다.

 

 “와예? 형수는 형한테 또 반했습니꺼?”

 

 하며 정화가 다혜를 놀리며 킥킥 웃었다.

 

 “참말로 반할만 하다 아이가.”

 

 하며 민화도 석이를 바라보며 감탄했다.

 

 “셋째 형수 억시로 곱다. 내도 나중에 우리 색시 저런 드레스 입혀보고 싶다.”

 

 하며 태화는 아직 만나지도 않은 색시가 그리웠다. 윤화는 이 모든 광경이 그저 감격스러울 따름이었다. 너무 감격스러워서 윤화는 반쯤 졸린 눈으로 늘 그렇듯 돌멩이처럼 앉아 있었다. 노미는 자꾸 눈시울이 붉어졌다. 그런데 진화는 정말로 눈물이 흐르고 있었다. 노미는 자기 눈물을 닦으려던 손수건을 진화에게 주었다. 진화는 흐르는 눈물을 연신 닦으며 어깨까지 들썩이며 흐느꼈다. 윤화가 뒤에서 ‘쯧쯔쯔’ 하고 혀를 찼다.

 

 결혼식이 끝난 후 가족사진을 찍으려고 신랑 신부 옆에 가족들이 섰다. 진화네 가족들이 다 같이 찍은 첫 번째 사진이었다. 사진사는 지금까지 이렇게 아름다운 가족사진을 찍어본 적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노미네 가족은 눈으로 보이는 것보다 훨씬 더 아름다운 사람들이었다. 이 아름다운 가족을 노미는 참 사랑했다. 참 많이 사랑했다. 그리고 앞으로 만나게 될 새 가족들을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렸다.

 
 

NO 제목 날짜 조회 추천 글자
84 제83화 트럭 2020 / 9 / 29 301 0 5261   
83 제82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2020 / 9 / 29 288 0 4771   
82 제81화 남겨진 아내들 2020 / 9 / 29 292 0 5295   
81 제80화 빨갱이 대장 2020 / 9 / 29 271 0 4582   
80 제79화 산에서 내려온 친구들 2020 / 9 / 29 289 0 5862   
79 제78화 태화 장가가는 날 2020 / 9 / 29 285 0 4238   
78 제77화 태화의 옥가락지 2020 / 9 / 29 282 0 5395   
77 제76화 파란 눈의 친구들 2020 / 9 / 29 272 0 6748   
76 제75화 달 그리고 우물 2020 / 9 / 29 269 0 6261   
75 제74화 유림이 2020 / 9 / 29 274 0 4841   
74 제73화 남화의 옥가락지 2020 / 9 / 29 271 0 5116   
73 제72화 가족회의 2020 / 9 / 29 263 0 5668   
72 제71화 서울말 쓰는 애기씨 2020 / 9 / 29 284 0 6270   
71 제70화 서현이 2020 / 9 / 29 263 0 5120   
70 제69화 공주마마 2020 / 9 / 29 265 0 6747   
69 제68화 광복(光復) 빛이 돌아오다. 2020 / 9 / 29 280 0 5622   
68 제67화 폭우 2020 / 9 / 29 285 0 8760   
67 제67화 푸른곰팡이 2020 / 9 / 29 278 0 6241   
66 제65화 콜레라-2 2020 / 9 / 29 272 0 7402   
65 제64화 콜레라-1 2020 / 9 / 29 286 0 4328   
64 제63화 하얀 호랑이 2020 / 9 / 29 271 0 5325   
63 제62화 석이의 옥가락지 2020 / 9 / 29 286 0 7069   
62 제61화 내 사람 2020 / 9 / 29 289 0 6313   
61 제60화 다혜 2020 / 9 / 29 287 0 6227   
60 제59화 다시 핀 봉숭아꽃 2020 / 9 / 29 270 0 7108   
59 제58화 발가락 2020 / 9 / 29 289 0 6262   
58 제57화 살아남은 사람들 2020 / 9 / 29 293 0 6390   
57 제56화 저희가 영원히 슬플것이요. 2020 / 9 / 29 291 0 6299   
56 제55화 복이 있나니 2020 / 9 / 29 281 0 5003   
55 제54화 슬퍼하는 자는 2020 / 9 / 29 320 0 4990   
 1  2  3  
이 작가의 다른 연재 작품
등록된 다른 작품이 없습니다.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신고/의견    
※ 스토리야에 등록된 모든 작품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 본사이트는 구글 크롬 / 익스플로러 10이상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주)스토리야 | 대표이사: 성인규 | 사업자번호: 304-87-00261 | 대표전화 : 02-2615-0406 | FAX : 02-2615-0066
주소 : 서울 구로구 부일로 1길 26-13 (온수동) 2F
Copyright 2016. (사)한국창작스토리작가협회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