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1일간 안보이기 닫기
모바일페이지 바로가기 > 로그인  |  ID / PW찾기  |  회원가입  |  소셜로그인 
스토리야 로고
작품명 작가명
이미지로보기 한줄로보기
 1  2  3  4  5  6  7  8  9  10  >  >>
 1  2  3  4  5  6  7  8  9  10  >  >>
 
자유연재 > 일반/역사
노미
작가 : 정진교
작품등록일 : 2020.9.23

1919년에 태어나신 나의 할머니 오노미와 남편 정진화 그리고 그 동생들 윤화, 남화, 석이, 민화, 태화, 정화 이야기.

그때 노미는 열아홉 아리따운 소녀였고, 남편 정화와 여섯 도련님들은 스물두 살부터 열다섯 살 사이의 근동에 소문난 꽃같은 소년들이었다. 그렇게 노미의 꽃길같은 시집살이는 정말 꽃길만 같을 줄 알았다. 그러나 병으로 일찍 돌아가신 시어머니 대신 여섯도련님들의 어린 어머니 노릇을 하며 한명 한명 제짝을 찾아주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리고 시대는 일제강점기. 아프고 어두운 시절이었다.

목숨보다 소중한 것들과 소중한 사람들을 어이없이 빼앗기고, 또 잃어야 했던 시절이었다.
노미의 가족들은 서로를 지켜내기 위해 매일 매 순간 이를 악물고 버텨야 했고, 어떻게든 살아내야 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시절 누구보다 찬란했고, 아름다웠고, 사랑스러웠으며, 아팠지만 따듯했고, 슬펐지만 행복했다.

공출, 가뭄, 강제징용, 그리고 빼앗긴 소녀들... 아파서 부끄러워서 또 몰라서
아무도 하려하지 않았지만 누군가 해야하는 이야기이기에 감히 시작해보려 한다.

저는 작가 정진교입니다. 지금부터 제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제63화 하얀 호랑이
작성일 : 20-09-29 11:04     조회 : 270     추천 : 0     분량 : 5325
뷰어설정 열기
뷰어 기본값으로 현재 설정 저장 (로그인시에만 가능)
글자체
글자크기
배경색
글자색
맑은고딕 나눔고딕 돋움 굴림 궁서 바탕
13 15 17 19 21

 제63화 하얀 호랑이

 

 

 신랑 신부를 신방에 넣어주고는 모두 잔칫상을 앞에 두고 마당에 둘러앉았다. 남화도 진화처럼 술을 즐기지는 않았지만 막걸리는 좋아했다. 노미가 담근 막걸리를 특히 좋아해서 남화는 오랜만에 맛보는 형수님 막걸리가 반가웠다. 석이가 혼인하는 덕분에 남화 얼굴을 보아 노미도 반가웠다.

 

 “이제 도련님도 장가가셔야 하지 않겠는교?”

 

 하고 노미가 은근한 눈으로 남화를 보았다. 그러자 남화는 수줍게 웃으며

 

 “지는 아직 학생입니더. 공부가 끝나야지예.”

 

 했다.

 

 “학생이라도 나이가 차셨으니 장가가셔도 되지예. 우째요. 제가 알아볼까예?”

 

 하며 노미가 기대에 차 남화 눈치를 살피는데 남화는 표정이 영 밝지 않았다.

 

 “혹시, 봐둔 색시라도 있는교?”

 

 하며 노미는 진심으로 그러길 바라며 물었다. 하지만 남화 표정은 더 어두워졌다.

 

 “실은.... 그 시인 형님께서.... 얼마전 일본 형무소에 구금되셨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더.”

 

 뜻밖의 소식에 노미는 깜짝 놀랐다.

 

 “와예?”

 

 “독립운동에 가담하고, 한글로 시를 쓰셨다는 이유랍니더.”

 

 남화의 눈이 분노로 떨렸다. 남화는 막걸리를 들이켰다. 남화가 내내 안색이 좋지 않았던 이유가 이것이었다.

 

 “그라믄, 이제 그 분 시를.... 더 못 보는 겁니꺼?”

 

 노미는 얼굴도 보지 못한 그 시인이 한없이 아깝고 안타까웠다. 지켜야 하는데 지킬 수 없는 것들이 너무 많았다. 하늘 아래 우리는 너무 작고 초라했다. 남화는 주머니에서 종이 한 장을 꺼내 노미에게 건넸다.

 

 “그분 시입니더. 몇 해 전 시집을 내실라 했는데 못 하셨습니더. 그 중 지가 좋아하는 시입니더. 형수님 보여드릴려고 적어 왔습니더.”

 

 노미는 종이를 펼쳐 그 자리에서 읽었다.

 

 서시-윤동주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1941. 11. 20

 

 남화는 며칠을 더 집에 있다 다시 만주로 돌아갔다. 언제 다시 대학으로, 병원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기약이 없었다.

 

 1944년이 되었다. 일본은 조선의 명절들을 대부분 금지했다. 딱히 마땅한 이유도 없이 조선 것은 다 안된다는 식이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설도 대보름도 조용히 소리 없이 치러야 했다. 사람들이 어떤 이유로든 모이는 것 자체가 감시와 신고의 대상이었다.

 

 뉴스나 신문에서 떠드는 전쟁 소식과 실제 소문은 많은 차이가 있었다. 뉴스와 신문에서는 연일 일본의 승전보를 전했다. 예를 들면 미국의 폭격기가 일본의 어느 도시를 공격했는데 모두 격추했다는 내용이었다. 이 뉴스를 듣는 일본 사람들은 일본에게 미국이 상대가 안 된다며 좋아했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미국이 일본 본토로 폭격기를 보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겨울이 가고 또 봄이 왔다. 진화는 얼마 전부터 복권이의 권유로 산림계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일본 세상에서 일본 사람 밑에 일하는 것은 죽기보다 싫었지만 복권은 산림계 일이라는 것이 결국 그래도 내 나라 내 땅을 지키는 일이지 않으냐고 진화를 설득했다.

 

 여러 해를 연달아 가뭄을 겪은 조선의 산은 참혹하기 그지없었다. 낮은 산들은 대부분 민둥산이 되었고, 높은 산들도 꼭대기만 조금 남기고는 발가벗은 것이나 마찬가지인 상태였다. 비가 조금만 와도 산이 무너졌고, 해풍이 조금만 불어도 밭이 다 망가졌다.

 

 그렇게 해서 진화는 훈장님이 친일파가 되었다고 손가락질을 받으면서도 자전거를 하나 마련해 읍내로 출퇴근하는 공무원이 되었다. 월급으로 쌀을 받아왔다. 분명 기뻐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다.

 

 석이네는 그해 봄 경사가 났다. 다혜가 아기를 가진 것이다. 석이 기쁨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 장사 다니는 일도 미루고 내내 아내 옆에서 지냈다.

 

 그 바람에 장사는 윤화 혼자 다녀야 했다. 윤화는 본격적으로 소장사를 시작했다. 이문도 많이 남고, 멀리 다니지 않아도 되어서 좋았다. 석이가 육아휴직상태라 좀 외롭기는 했지만 정 외로울 때는 석이를 어떻게든 졸라서 데리고 다녔다. 눈물겨운 이별을 봐야 해서 아니꼽기는 했지만 그래도 다혜는 마음 좋게 석이를 잘 빌려주었다.

 

 어머니 베 짜는 솜씨를 민화가 물려받았는데, 노미는 민화가 베를 짜느라 베틀에 앉아 있으면 그 모습을 넋을 놓고 보곤했다. 남자가 베짜는 모습이 저렇게 아름다울 수도 있나 싶었다. 그 사이 태화와 정화는 온 산을 뛰어다니며 나무를 해다 곳간을 가득 채웠다. 하지만 산에 나무가 없었다.

 

 민화는 아이들 가르치는 일도 재미났다. 한문도 가르치고 한글도 가르쳤다. 동네 아이들이 민화 앞에 모여 앉아 눈도 한번 안 돌리고 민화 하라는 데로 다 따라했다. 민화는 언제부턴가 학교에서 아이들 가르치는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틈틈이 소학교, 중학교 공부들을 독학으로 했다.

 

 겨울이 슬그머니 물러나면 봄과 함께 부모님 제사가 있다. 하지만 만주에 있는 남화는 고향에 오지 못했다. 시절이 어지러웠다. 남화는 죄스러운 마음을 가눌 길이 없었다. 남화는 대신 고향에 편지를 보냈다. 편지에는 남화가 겪은 특별한 일화와 특별한 사람에 관한 이야기가 있었다.

 

 만주 원장님은 남화가 돌아와 병원 일을 돌봐주니 여간 기쁘지 않으셨다. 그리고 시절이 좋아지면 반드시 의대로 돌아가 공부를 마칠 수 있을 것이라 격려해 주셨다. 그리고 혹시라도 시절이 좋아지지 않으면 미국으로 유학을 보내주겠다고 제안하셨다. 꿈같은 일이었다. 하지만 남화는 왠지 그렇게 하고 싶지 않았다. 고향에서, 고국에서 자꾸 멀어지는 것이 그다지 내키지 않았다. 남화는 조국이 반드시 해방될 것이라 믿었고, 윤화 형의 말대로 어렴풋이 그날이 멀지 않았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해방된 조국에서 자기가 할 일이 있으리라 생각했다. 그 일들을 찾아서 하고 싶었다.

 

 

 어느 날, 만주 병원 원장님인 방 선생님이 남화에게 같이 남경에 좀 다녀오자고 하셨다. 아는 분이 총상을 입으셨는데 봐 드리기로 했다는 것이다. 남화는 선생님과 함께 남경으로 갔다. 그리고 그곳에서 그분을 뵈었다.

 

 인자한 인상에 둥근 안경을 쓴 중년 신사가 흰 두루마기를 단정히 입고 그들을 맞아주었다.

 

 그분은 총상은 치료하여 다 나았으나 요즘 속이 메슥거리고 다리에 마비가 온다고 하셨다. 선교사들이 운영하는 병원으로 가서 미국 의사에게 물었는데 그때 남화가 통역을 해드렸다. 몸 안에 남은 총탄 때문에 생긴 증상이라 했다. 다행히 생명에 지장은 없는 것이라 수술을 하지 않아도 차차 증상이 나아질 것이라는 반가운 이야기를 들었다. 남화가 낫게 해드린 것도 아닌데 그 신사는 남화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여러 번 하셨다.

 

 둥근 얼굴의 그는 남화 같은 젊은이들을 만나는 것이 무엇보다 기쁜 일이라며 웃었다. 남화가 고향에서 훈장 일을 했다고 하니 매우 반가워하시며 자기도 열여덟에 훈장이었다고 하셨다. 같은 소년 훈장 출신이라며 그는 남화를 더 가깝게 느끼셨다.

 

 “어디 정씨인가?”

 

 하고 그가 물었다.

 

 “연일 정씨입니다. 포은공파 30대손이옵니다.”

 

 하고 남화가 대답했다. 포은공파란 말에 그는 반가워하며,

 

 “오호! 그럼 포은 정몽주님 후손이신가?”

 

 했다. 남화가 부끄러워하며 그렇다고 말씀드리자 그는 만면에 웃음을 띠며

 

 “내가 얼마 전 개경에 갔을 때 선죽교를 지나간 적이 있었네. 그곳에 아직도 정몽주님의 혈흔이 남아 있더군. 비록 조선의 건국을 반대하신 분이기는 하나 그 후손들이 그분의 절개와 뜻을 존경하였기에 그 혈흔을 지우지 않고 그대로 둔 것이 아니겠는가.”

 

 하며 사뭇 감격스러운 표정으로 남화의 얼굴을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조선은 무너졌으나 그 백성은 무너지지 않았네. 수없이 나라가 일어서고 무너지고 하였으나 이 땅은 언제나 그 백성이 주인이었네. 내가 포은공을 깊이 사모하는 이유는 그분이 님이라 한 이가 고려가 아니라 백성이었기 때문이네.”

 

 그 신사는 남화를 마치 포은 정몽주를 만난 듯이 반가워하셨다.

 

 “의사가 되려고 공부 중이라 했던가? 그래, 앞으로 우리 젊은이들이 피 흘릴 일이 많을 걸세. 피 흘리는 이가 있으면 그것을 싸매고 치료해줄 이도 필요한 법. 자네가 그렇게 해주게나.”

 

 하며 그는 남화를 따듯한 눈으로 바라보았다.

 

 “나는 백범 김구라 하네.”

 

 그렇게 잠깐 만난 그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주석인 백범 김구선생이었다. 남화는 그때의 만남을 평생 소중하게 간직했다.

 

 

 여기에 그분의 글을 일부 소개하려 한다.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나님이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 다음 소원이 무엇이냐?’

 하면, 나는 또

 ‘우리나라의 독립이오.’

 할 것이요, 또,

 ‘그 다음 소원이 무엇이냐?’

 하는 세 번째 물음에도, 나는 더욱 소리를 높여서,

 ‘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내가 원하는 우리 민족의 일은

 결코 세계를 무력으로 정복하거나

 경제력으로 지배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직 사랑의 문화, 평화의 문화로

 우리 스스로 잘 살고

 인류 전체가 의좋게 즐겁게 살도록 하는 일을

 하자는 것이다.

 어느 민족도 일찍이 그러한 일을 한 이가 없으니,

 아무도 한 자가 없기에 우리가 하자는 것이다.

 이 큰일은 하늘이 우리를 위하여 남겨놓으신 것임을 깨달을 때에

 우리 민족은 비로소 제 길을 찾고 제 일을 알아본 것이다.’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지 아니한다.

 내가 남의 침략으로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아니한다.

 우리의 부력(富力)은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强力)은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인류가 현재에 불행한 근본 이유는

 인의가 부족하고 자비가 부족하고 사랑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마음만 발달이 되면 20억이 다 편안히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인류의 이 정신을 배양하는 것이 오직 문화이다.‘

 

 백범 김구 선생님이 대한의 독립을 원하신 이유는 바로 이것이었다. 독립한 대한민국이 세상을 향해 할 ‘아름다운 일들’이 이루어지기를 바라셨기 때문이다. 내 나라의 독립조차 알 수 없던 그때, 그분은 감히 20억을 편안히 하고자 하는 꿈을 꾸셨다. 그리고 그 일을 할 소명이 우리나라 대한민국에 있다 믿으셨다. 사랑으로, 인의로, 아름다움으로, 문화로 세상을 채우고자 하셨다.

 

 빼앗기고, 핍박받고, 잘리고, 나뉘고, 짓밟혔지만 이 땅에 태어난 소년 소녀들은 세상을 향해 아름다운 일들을 하도록, 세상을 아름답게 하도록, 세상을 사랑하고, 세상으로부터 사랑받도록, 그리고 그 사랑으로 온 세상이 더 아름다워지고 행복해지도록 할 사명이, 능력이 있음을 아셨다. 김구 선생님의 말씀처럼 지금까지 아무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제 우리가 해야 한다.

 

 우리는, 너는 ‘아름다운 사람’이다. 세상에 나아가 ‘아름다운 일들’을 할 사람들이다.

 

 

 
 

NO 제목 날짜 조회 추천 글자
84 제83화 트럭 2020 / 9 / 29 300 0 5261   
83 제82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2020 / 9 / 29 287 0 4771   
82 제81화 남겨진 아내들 2020 / 9 / 29 292 0 5295   
81 제80화 빨갱이 대장 2020 / 9 / 29 271 0 4582   
80 제79화 산에서 내려온 친구들 2020 / 9 / 29 288 0 5862   
79 제78화 태화 장가가는 날 2020 / 9 / 29 284 0 4238   
78 제77화 태화의 옥가락지 2020 / 9 / 29 282 0 5395   
77 제76화 파란 눈의 친구들 2020 / 9 / 29 272 0 6748   
76 제75화 달 그리고 우물 2020 / 9 / 29 268 0 6261   
75 제74화 유림이 2020 / 9 / 29 273 0 4841   
74 제73화 남화의 옥가락지 2020 / 9 / 29 270 0 5116   
73 제72화 가족회의 2020 / 9 / 29 262 0 5668   
72 제71화 서울말 쓰는 애기씨 2020 / 9 / 29 284 0 6270   
71 제70화 서현이 2020 / 9 / 29 262 0 5120   
70 제69화 공주마마 2020 / 9 / 29 265 0 6747   
69 제68화 광복(光復) 빛이 돌아오다. 2020 / 9 / 29 279 0 5622   
68 제67화 폭우 2020 / 9 / 29 285 0 8760   
67 제67화 푸른곰팡이 2020 / 9 / 29 278 0 6241   
66 제65화 콜레라-2 2020 / 9 / 29 271 0 7402   
65 제64화 콜레라-1 2020 / 9 / 29 285 0 4328   
64 제63화 하얀 호랑이 2020 / 9 / 29 271 0 5325   
63 제62화 석이의 옥가락지 2020 / 9 / 29 285 0 7069   
62 제61화 내 사람 2020 / 9 / 29 288 0 6313   
61 제60화 다혜 2020 / 9 / 29 286 0 6227   
60 제59화 다시 핀 봉숭아꽃 2020 / 9 / 29 269 0 7108   
59 제58화 발가락 2020 / 9 / 29 288 0 6262   
58 제57화 살아남은 사람들 2020 / 9 / 29 292 0 6390   
57 제56화 저희가 영원히 슬플것이요. 2020 / 9 / 29 290 0 6299   
56 제55화 복이 있나니 2020 / 9 / 29 280 0 5003   
55 제54화 슬퍼하는 자는 2020 / 9 / 29 319 0 4990   
 1  2  3  
이 작가의 다른 연재 작품
등록된 다른 작품이 없습니다.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신고/의견    
※ 스토리야에 등록된 모든 작품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 본사이트는 구글 크롬 / 익스플로러 10이상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주)스토리야 | 대표이사: 성인규 | 사업자번호: 304-87-00261 | 대표전화 : 02-2615-0406 | FAX : 02-2615-0066
주소 : 서울 구로구 부일로 1길 26-13 (온수동) 2F
Copyright 2016. (사)한국창작스토리작가협회 All Right Reserved.